실력파 애니메이터가 모인 이유
와카바야시 신과 야마자키 유타는 한때 다른 스튜디오에 근무했던 선후배 관계로, 이제까도 함께 갖가지 작품에 참가하여, 야마자키는 옆에서 와카바야시의 작업을 보아왔다. 「『이 사람을 따라가면 재미있는 경치를 보여주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품게 해주는 사람이죠. 매번 『공격적인 시합』을 펼쳐서, 남는 시간을 지키면 이길 만한 상황에서도 위험을 무릅쓰고 득점을 노려요. 그게 작품에 관련된 사람에겐 가장 좋다고 아는 거죠. 집단 작업 중에 그걸 하는 건 상당히 용기가 있는 일이지만, 매번 확실히 결과를 내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야마자키)
야마자키가 본작에 부감독으로 참가한 계기도, 이전 스튜디오에서 동기였던 애니메이터 코바야시 케이스케의 강한 권유에 따른 것이었다. 「『이 작품이, 그보단 와카바야시 씨의 작품은 분명 엄청나질 거다. 그걸 보좌할 사람이 필요하니 자키가 들어가라』고 점점 얘기를 진행시켜 버렸죠」라고 웃으면서 이야기한다. 물론 코바야시도 코어 애니메이터 직책으로 본작에 참가하여, 수많은 중요한 컷을 작업했다. 그리고 「코바야시 씨가 참가하는 작품이라면」 하고, 그를 따르는 많은 젊은 실력파 애니메이터가 모였다. 총작화감독 타카하시 사키도 「총작화감독은 표정 수정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 작품은 정말 그 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을 만큼, 원화의 퀄리티가 높아서 편했습니다」라고 이아기하여, 사람과 사람의 연결이 작품의 질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걸 엿볼 수 있다. 또한, 액션 디렉터인 카와카미 유스케는 제작팀(제작 프로듀서, 제작 데스크, 설정 제작, 각 화 제작 진행)의 우수함을 강조했다. 「최심부에는 와카바야시 씨의 재능이 있고, 거기에 이끌린 크리에이터들이 모여든 건 틀림없습니다. 하지만 그걸 접목시킨 건 제작팀의 힘입니다」. 질 높은 작품이 만들어졌을 때, 스태프가 제작팀을 치하하는 경우는 자주 보게 된다. 본작의 경우엔 제작 진행의 다수가 첫 도전임에도 굉장히 의욕적으로 달려들었다고 한다.
「애니메이션은 작화뿐만 아니라, 미술이나 촬영 같은 갖가지 섹션이 있습니다. 그리고 제작 중엔 서로에게 지시를 내리며, 의사소통에 나설 기회가 아주 많습니다. 그때 서로의 동기가 무너지지 않도록, 가교가 되어주는 게 제작팀입니다. 『원에그』에선 감독이 만들고 싶은 것과 크리에이터가 표현하고 싶은 게 어떻게 어긋나지 않도록, 필사적으로 뛰어다녀 준 제작팀이 정말 잔뜩 있었습니다」라고 카와카미는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 그런 제작 현장에는 뜻을 가진 스태프가 잔뜩 모여, 그 열량을 피부로 느낀 와카바야시 감독은 「민주적인 분위기」가 있는 제작 현장을 만드느라 분주하다. 이는 저마다가 스스로의 생각을 두고 「자신의 일」로 생각함으로써, 보다 나은 것이 태어난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taracod에 의한 콘셉트 아트. 아카·우라아카가 있는 지하 정원과 각 화의 에그의 세계 등, 이미지 구성 측면에서 작품 제작을 받쳐줬다. 「CG로 만들어주신 콘셉트 아트는 3D 레이아웃으로도 쓸 수 있었고, 미술 보드가 완성되기 전부터 회의에 쓸 수 있어서 굉장히 도움이 됐습니다」(야마자키) 「캐릭터가 있는 공간과 분위기를 굉장히 잘 생각해 그려주셨습니다. 식물에 관한 조예가 굉장히 깊은 분이어서, 식생에 대해 매우 자세한 주석까지 달아주셨습니다. 고집이 있는 분과 일하는 건 역시 즐겁죠」(와카바야시)
옆에서 보고 있던 야마자키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감독은 작품을 위해 의견을 서로 내는 민주적인 현장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의견이 엇갈리는 경우도 있어서, 정리하는 게 역시 큰일이었죠. 다만, 거기서 명령하듯 위에서 『시키는 대로 해라』라고 찍어누르지 않고, 『연출 쪽에서 설명해서 납득이 안 된다면 안 된다』며, 그때마다 제대로 마주해 대화의 장을 열었습니다. 길어지면서 신경을 소모하는 경우도 있었죠. 그걸 지켜본지라, 저 같은 인간은 감독의 결정을 밀어주는 역할을 맡기로 했습니다」(야마자키)
「제가 혼자 영상 제작을 전부 하는 게 아닌지라, 따라서 전파 방법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다들 굉장히 근면하고, 그렇기에 고생도 많은 현장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번 현장에선 제가 한 말을 『나라면 어떡하겠는가』하고 파악해서 스태프가 움직여줬습니다. 당연히 스태프 각자가 중요하게 여기고 싶은 부분도 있었겠지만, 그 옆에는 작품으로써 무언가를 중요하게 여기느냐 하는 의식이 있었다는 게 제 생각이고, 그게 좋은 방향으로 정리됐다고 생각합니다」(와카바야시)